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식시장에서의 베타(β)란?

투자정보/투자정보

by 미국사람. 2020. 8. 3. 07:00

본문

반응형

 

 

 

베타(β)는 특정자산이나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입니다. 어떤 주식의 베타가 1보다 클 경우 시장보다 더 많이 움직이며, 1보다 적다면 시장보다 더 적게 움직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베타가 높은 주식은 일반적으로 더 위험하지만 수익률도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베타가 낮다면 위험과 기대수익률이 모두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마이스탁이 보유한 주식포트폴리오(8월2일 기준)를 예로 들면, 최근 1년 베타가 1.91에 달하는 유에스티[263770]는 과거 1년간 지수가 보인 변동성의 2배 가까운 움직임(191%)을 보인 반면 최근1년 베타가 0.59인 KODEX게임산업[300950]은 지수가 보인 것의 59%만을 반영해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상장주식의 베타는 일반적으로 0과 2사이의 값을 가지며, 시가총액에서의 비중이 높은 삼성전자의 경우 베타값이 1.01로 시장과 거의 같은 변동성을 보입니다.  

 

베타는 공분산을 분산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때 분자의 공분산은 지수(코스피, 코스닥, S&P 등)와 특정주식이 보인 수익률의 공분산을 나타내며 분모인 분산은 지수 수익률의 분산값을 나타냅니다. 공분산이 양의 값일 경우 주식이 오르거나 내려갈 때 지수와 함게 움직이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내며 음의 값일 경우에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인 것을 의미합니다. 한편 HTS의 종목정보화면을 통해 이미 계산된 개별종목의 베타값을 쉽게 얻을 수 있으나, 엑셀등을 통해 직접 계산하기를 원할 경우 아래 방식을 따르면 됩니다. 

 

1. 주식의 가격데이터를 저장한다

2. 종목이 속한 지수(코스피, 코스닥 등)의 가격데이터를 저장한다

3. 주식과 지수의 기간수익률을 계산한다

4. 각 수익률값과 Slope함수를 활용하여 계산한다. 

 

이를 통해 KODEX게임산업 ETF의 7월 베타값을 계산하면 0.97의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개별종목의 베타값을 가중평균하여 포트폴리오의 베타값도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오마이스탁 포트폴리오(8월2일 기준)에 포함된 17종목의 개별 52주베타값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포트폴리오의 베타값은 1.29로 시장보다 조금 더 민감하게 움직일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