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렌 버핏은 다른 설명이 필요없는 가치투자의 대가입니다. 그는 내재가치에 비해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 장기투자하는 방법으로 세계에서 손에 꼽힐 정도의 엄청난 부를 이루었습니다. PER, PBR, ROI등의 재무지표는 그가 종목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중시하는 지표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그는 일명 경제적 해자(Economic moats)를 가진 회사를 찾는 것으로 유명한데 이것은 간단히 말해 시장에 새로 진입해 수익성을 악화시킬 잠재적 경쟁자의 진입을 막는 높은 장벽이 있는 회사를 말합니다. 이를테면 아래와 같은 회사들입니다.
NIKE (NKE)
지금 시대에 사람들에게 나이키는 고성능 운동화와 동의어로 여겨지는데, 이제는 그를 넘어 의류, 스포츠용품 및 스포츠선수들을 위한 다양한 상품분야의 선두주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이키는 현재 그들이 참여하는 거의 모든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 40억달러에 이르는 현금과 안정적인 부채비율 등 흠잡을 데 없는 대차대조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나이키는 중국을 비롯한 개도국에서도 활발히 영업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미국브랜드 중 하나입니다.
Burlington Nothern Santa Fe Corp (BNI)
버핏이 신뢰하는 것으로 알려진 회사 중 하나입니다. 지난해 말 그는 이 회사에 340억달러를 투자한 바 있는데 이 화물철도사업자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약 5만 마일에 이르는 운송루트를 소유하거나 임대하고 있습니다. BNI는 소비재와 자동차에서부터 석유, 석탄, 목재에 이르기까지 경제를 이루는 거의 모든 것을 운송하고 있습니다. BNI와 같은 철도사업자는 강세장의 초기 수혜주로 여겨집니다. 경기 침체 후 회복세를 보일 경우 매출이 증가할 뿐 아니라 주식거래량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BNI의 높은 배당수익률도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Conoco Philips (COP)
석유 및 가스산업의 거의 모든 부문에 참여하는 에너지회사로서 시추에서 정제, 가솔린, 천연가스 그리고 산업용 석유화학제품의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활동을 수행합니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에너지가격이 하락하고 정제마진이 10년래 최저수준까지 떨어지면서 주가는 하락세를 보여왔습니다. COP역시 배당주로 유명합니다
Costco (COST)
코스트코는 업계에서 느리지만 꾸준함의 대명사였습니다. 고객에게 더 낮은 가격을 제공하는 그들의 확고한 철학에 따라 회사는 충성고객들에게 종교와도 같은 의미였습니다. 회원은 매장에서 쇼핑할 권리를 위해 매년 비용을 지불하는데 대개 회원비용을 넘는 금액을 소비하기 위해 더 많이 매장에 방문합니다. 코스트코는 주로 식료품, 농산물 등 소비재를 판매하지만 전자제품이나 보석, 정원용품들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The Coca-Cola Company (KO)
버핏은 수십년 동안 소프트드링크 업체들을 소유하고 있으며, 코카콜라는 그의 가장 성공적인 보유자산 중 하나입니다. 코카콜라는 주로 시럽과 농축액을 식당 등에 제공하는 독특한 판매전략을 통해 전세계에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은 다소 포화상태에 잇지만, 선도적 브랜드로서 누리는 높은 이윤은 캐시카우 지위를 유지할 수 있게 만듭니다. 인도 등 신흥국시장에서 30퍼센트에 육박하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배당주로서도 매력적입니다
Procter & Gamble (PG)
미국의 모든 가정에 프록터앤갬블 제품이 하나쯤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회사는 헤드앤숄더, 질레트, 오랄비, 다우니, 듀라셀과같은 유명한 브랜드들을 갖춘 소비재 골리앗입니다. P&G의 장기 정략은 시장점유율이 1위 혹은 2위인 시장에서만 경쟁하고, 그렇지 못할 때는 제품을 즉시 내려버리는 것입니다.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다면 생산비용이 상승할 때 쉽게 제품가격을 올릴 수 있습니다.
모든 주식 투자에는 위험이 따르지만, 위에서 언급한 6개 주식의 포트폴리오는 지난 수십년 동안 경기침체 후에도 다시 성장하는 경제에 투자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위 업체들은 높은 진입장벽을 확보하고 있어 스스로 가격을 책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단기 주가 급등락과는 무관하게 주주들에게 장기적인 가치를 제공할 것입니다.
미국주식, 이제 뭘 사야할까 [괴리율, 적정주가] (0) | 2020.09.02 |
---|---|
아마존 VS 알리바바 (0) | 2020.08.09 |
나스닥 최고의 마리화나(대마초)관련주는? (0) | 2020.07.31 |
아마존, 이베이가 대마초에 투자한다고? (0) | 2020.07.30 |
우량 배당주의 배신 ; 당신이 WPG(워싱턴프라임그룹)의 초기투자자라면?! (0) | 2020.07.2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