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따금 삼성전자와 소니의 뒤바뀐 위상을 두고 소니의 미래에 대해 걱정을 하는 이들이 있다. 실제로 15년 전만해도 북미 등 해외시장에서 최고급TV는 삼성이 아니라 소니제품이었다.
이제는 세상이 바뀌었고,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325조원에 육박한다. 소니는? 올초에야 힘겹게 10조엔(약 110조원)으로 다시 올라섰다. 2000년 9월 이후 약 19년만이라고 한다. 하지만 투자자관점에선 어떨까? 개인투자자가 두 종목에 투자했다면 어느 쪽이 나은 성과를 보였을까? 파이썬으로 두 종목의 성과를 비교해보았다. 시작일은 삼성전자의 액면분할일인 2018년 5월 4일로 투자기간은 28개월이다.
결과적으로, 소니에 투자한 쪽이 더 웃을 수 있었다. 삼성전자의 누적수익률은 13.49%였고 소니의 경우는 63.12%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위 차트를 파이썬에서 출력할 수 있는 코딩을 아래에 정리해본다.
>>> from pandas_datareader import data as pdr
>>> import yfinance as yf >>> yf.pdr_override()
>>> sec = pdr.get_data_yahoo('005930.KS', start='2018-05-04')
>>> sec_dpc=(sec['Close']-sec['Close'].shift(1))/sec['Close'].shift(1)*100
>>> sec_dpc.iloc[0]=0
>>> sec_dpc_cs = sec_dpc.cumsum()
>>> sec_dpc_cs
>>> sne=pdr.get_data_yahoo('SNE', start='2018-05-04')
>>> sne_dpc=(sne['Close']/sne['Close'].shift(1)-1)*100
>>> sne_dpc.iloc[0]=0
>>> sne_dpc_cs=sne_dpc.cumsum()
>>> sne_dpc_cs
>>>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plt.plot(sec.index, sec_dpc_cs, 'b', label='Samsung Electronics')
>>> plt.plot(sne.index, sne_dpc_cs, 'r--', label='Sony')
>>> plt.ylabel('Change%')
>>> plt.grid(True)
>>> plt.legend(loc='best')
>>> plt.show()
작년에 이 코인을 샀더라면... (변동성돌파전략) (0) | 2021.07.09 |
---|---|
퀀트킹을 활용해서 찾은 저평가 주식종목 Top 3 (0) | 2020.09.21 |
장기성과가 우수한 소형주들 (0) | 2020.09.19 |
코스피, 얼마나 떨어질 수 있을까?(MDD) (0) | 2020.08.28 |
삼성전자 VS 마이크로소프트 (0) | 2020.08.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