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볼린저밴드를 활용한 매매는 얼마나 유용할까?

투자정보/투자정보

by 미국사람. 2020. 11. 30. 07:00

본문

반응형

1980년대 존 볼린저가 개발하여, 현재도 주식투자자들에게 널리 활용되는 기술적지표가 있다. 볼린저밴드가 바로 그것이다. 국내에서 르네상스테크놀로지의 제임스 사이먼스에 가장 근접한 공학자로 꼽히는 문병로교수는 그의 저서 메트릭스튜디오에서 볼린저밴드를 활용해 매매했을 때의 결과를 1999년~2012년까지 국내시장의 광범위한 데이터를 활용해 심도깊게 분석해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볼린저밴드는 20일 이평선을 중심선으로, 여기서 표준편차*2를 더한 상한선과 뺀 하한선으로 구성된다. 볼린저밴드는 정규분포를 활용한 것으로 통계적으로 보면 주가는 95%의 확률로 상한선과 하한선 안에서 머물게 된다. 다시 말해 상한선과 하한선의 밴드를 벗어나는 것은 통계적으로 예외의 경우에 해당되어 상한선은 저항선, 하한선은 지지선으로서의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문병로 교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단돌파한 종목들은 시장평균에 비해서 유의미한 우위를 보이진 못했다. 상단 돌파 후 3주까지 미미한 우위를 기록했지만 이후에는 그 우위도 사라진 것으로 판명됐다. 종목 매수 후 1주일이 지난 시점에 주가가 매수가격보다 상승했을 확률도 시장평균인 46.3%에 훨씬 못 미치는 44.3%에 그쳤다. 

 

다만 몇가지 조건을 변경하고 백테스팅해보니 상승확률이나 폭이 좀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1. 볼린저밴드 기간이 길어질 경우

대체적으로 쓰이는 20일선이 아니라 120일, 350일 등 좀 더 긴 기간의 이평선을 사용할 경우 시장평균보다 우위가 커졌다. 120일선 볼린저밴드의 경우 매수 후 최대 6개월까지 시장평균을 웃도는 수익을 거뒀으며, 역대 최고의 터틀로 알려진 커티스 페이스가 사용한다는 350일선 볼린저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매수 후 3주 뒤~6개월 뒤에 걸쳐 다른 경우보다 우위를 나타냈다.  

 

2. 밴드폭이 좁을 경우

밴드의 폭(상한선-하한선)이 좁아질수록 상한선돌파 이후 흐름이 좋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볼린저밴드를 기준으로 밴드의 폭이 중심값의 15%이내였을 경우, 즉 최근의 주가변동성이 작았을 경우 상승에너지가 강했다. 폭이 8%이내였을 때는 상한선 돌파후 평균 상승폭이 10.3%였는데 이는 시장평균보다 5.1%나 높은 것이다. 좁은 밴드 폭에서 며칠을 유지했었다는 조건을 추가하면 상승에너지는 더욱 강했다. 또 굳이 상단돌파가 아니라도 밴드폭이 좁다는 것만으로도 시장평균대비 우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최고가 근처에서의 상한선 돌파인 경우

볼린저밴드의 상한선 돌파가 52주 고가, 12주 고가 근처에서 발생한 경우, 고가 근처가 아니였던 경우보다 상승에너지가 강했다. 폭이 8%이하인 볼린저밴드의 상한선돌파가 만약 52주 고가 근처에서 발생했다면 6개월 후 상승폭이 시장평균 대비 14% 높았고, 상승확률은 60%에 달했다.  

 

 

일반적으로 볼린저밴드를 해석할 때는 상한선이나 하한선의 돌파를 의미있게 본다. 상한선에서는 대부분 하락하고 하한선에선 대부분 상승한다는 것이다. 그래 정작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주가의 흐름을 정규분포의 틀 속에서 해석한 이와 같은 방식은 통계적관점으로는 그리 견고하지 않다고 한다. 

 

굳이 상한선을 돌파하지 않더라도 오히려 상한선 근처에서 머물 경우, 그리고 그 기간이 길어질 경우 주가가 상승할 확률이 높았다고 한다. 발생빈도 역시 상단돌파보다 많았다. 또 이와 같은 현상이 고가 근처에서 발생한다면 더 좋은 결과가 나왔다. 다만 상한선에 근접한 경우 밴드 폭이 좁은 것은 큰 의미가 없었다.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 상한선 근접 > 상한선 돌파

- 밴드 폭이 좁아질 경우 : 상한선돌파 > 상한선 근접 

 

 

문병로 교수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가지 케이스는 직접 백테스팅해보았다. 

 

52주 고가 근처에 머문 주가가 볼린저밴드(폭8%)의 상한선을 상승돌파한 경우를 대상으로 삼았으며 유니버스는 따로 구분하지 않았다. 2017년1월부터 이러한 종목들 4개로 포트폴리오를 유지해보니 (익절O, 손절X, 5.33일보유) 결과적으로는 44%대의 수익을 거뒀다.  

수익률 CAGR MDD 승률 샤프지수 손익비 평균손익비
44.49% 9.89% 11.32% 54.3% 0.89 1.64 1.38

위 백테스팅케이스는 전반적으로 시장보다 우월하진 않았다. 추가적으로 최적화를 많이 해봐야할 듯하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