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선주의 가치평가

투자정보/기본적분석

by 미국사람. 2020. 7. 23. 07:00

본문

반응형

우선주는 주식과 채권(회사채)의 특징을 모두 가지므로, 가치평가방법 역시 보통주와는 다릅니다. 우선주의 주주 역시 의결권이 없다는 점을 제외한다면 보유주식 수에 비례하여 회사의 일부를 소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주는 일관된 배당금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채권과 많은 공통점을 가집니다. 우선주의 주주는 회사의 소득에 우선권을 가지며 이에 따라 보통주주보다 우선적인 배당을 받고, 파산 시에도 우선권을 갖습니다. 결과적으로 배당성장모델을 이용하여 우선주를 평가하는 방법이 흔히 쓰입니다

 

 

 

 

배당은 회사의 정책에 따라 분기별, 연간배당 등의 형태를 띄는데 이것이 우선주에 대한 가치평가방법의 기본자료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배당금을 주가와 비교하여 배당수익률로 표현되는데 금액 자체는 일정금액으로 고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우선주주에게 꾸준하고 예측가능한 수입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정배당금을 현재가치로 할인하는 방식으로 우선주의 가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고정배당은 일반적으로 보통주에서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식은 2가지로 요약됩니다. 

 

배당금이 일정한 경우

우선주 가치 = D/r     , 즉  배당금(D)을 금리(r)로 나눈 값이 우선주의 가치가 됩니다.  

 

배당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 Gordon성장모델

우선주 가치 = D/(r-g)  , 분모가 배당금이 일정한 경우보다 커지므로 우선주의 적정가치도 높아지게 됩니다. 

 

우선주는 보통은 배당금을 지급하지만, 경영상황에 따라 배당금을 삭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배당성향(순이익 대비 배당지급액)이 높아질 경우에 더 커집니다. 우선주주에게는 앞서 언급했듯 보통주주가 갖는 의결권이 부여되지 않는데 이는 회사의 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반적인 소액투자자들에게는 큰 의미가 없습니다. 그러나 우선주의 유동성을 평가할 때는 고려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우선주가 채권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므로, 가치는 기본적으로 금리에 반비례하여 움직입니다. 금리가 상승할 경우 우선주 가치는 떨어지며, 금리가 하락할 경우 우선주 가치는 올라갑니다.  

 

우선주 가치 평가의 어려움

지난 수 년간의 배당내역을 확인하는 것은 쉬운 일입니다. 하지만 배당액수가 변경되거나 향후 변경되는 경우 가치평가를 하기에 어려움이 따릅니다. 또 적절할 할인율(=r)값을 찾는 것도 어려운 과정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