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적분석(정량분석;QA)은 수학 및 통계모델링 등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시장 및 개별종목을 이해하려는 분석법입니다. 계량적분석가는 수치값으로 주어진 현실을 표현해냅니다. 이는 금융상품평가 및 국내총생산(GDP)변화와 같은 실제 사건 예측에 적용이 됩니다.
계량적분석을 통해 과거나 현재 혹은 미래에 이르는 이벤트들을 검사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숫자와 관련된 모든 주제를 계량화할 수 있어서 분석화학이나 재무분석, 사회과학 및 팀스포츠 등 많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금융업계에서는 QA를 사용하는 분석가들을 퀀트 혹은 퀀트 애널리스트라고 부릅니다.
정부의 통화관료들도 통화정책 및 기타 정책결정을 위해 계량적분석에 의존합니다. 계량적분석의 주요 구성요소이기도 한 정부와 중앙은행은 일반적으로 고용수치나 GDP와 같은 통계데이터를 추적하고 평가합니다.
금융투자산업에서 계량적분석은 유가증권의 단순매집 혹은 IPO시기선정과 같이 투자기회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개별투자자는 투자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PER나 EPS와 같은 주요 재무비율을 사용할 때 계량적분석을 이미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QA는 간단한 통계데이터검토부터 복잡한 계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정성분석(질적 분석) VS 정량분석(양적분석)
QA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지만 보완적인 연구 및 평가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때는 정성 분석(Qualitative analysis)과 같이 사용됩니다. 회사는 양적 분석을 사용해 영업이익률이나 자산이익률같은 수치를 평가하는데 쉽게 수량화할 수 없는 한 기업의 평판이나 직원 사기와 같은 수치들을 파악하는 데는 질적분석으로 더 의미있는 대답을 내놓을 수 있습니다. 질적분석에 사용되는 도구에는 고객설문조사나 패널토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혹은 특정기간동안 발생한 고객불만사항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검토하여 양적분석을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즉,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은 반대되는 개념은 아닙니다. 함께 사용될 경우 재무상태를 개선하거나 올바른 투자판단을 내리는 데 유의미한 정보들을 제공합니다.
헤지펀드계의 전설, 메달리온 펀드 (0) | 2020.08.01 |
---|---|
데이 트레이딩 VS 스윙 매매 (0) | 2020.07.29 |
데이트레이더란? (주식) (0) | 2020.07.28 |
고빈도 거래 (High Frequency Trading ; 초단타매매)란? (0) | 2020.07.26 |
시스템 트레이딩; 자동매매의 장단점 (1) | 2020.07.24 |
댓글 영역